카테고리 없음

홈택스에서 연말정산 미리보기 여는 법

CPA 팬더 2025. 11. 7. 16:08

올해 연말정산 준비, 지금부터 하면 훨씬 편합니다

왜 지금 연말정산을 봐야 할까?

연말이 다가오면 자동으로 떠오르는 말이 있죠. 바로 “13월의 월급”.
하지만 실제로 해보면 뭘 공제받는지, 얼마나 돌려받는지 헷갈릴 때가 많아요.

국세청에서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를 열어둔 이유도 바로 이거예요.
올해 1~9월 사용 내역을 기준으로 환급 예상액을 미리 볼 수 있고,
남은 기간 어떤 지출 패턴이 유리한지도 알 수 있어요.

연말정산 미리보기, 어디서 확인하나요?

홈택스에서 바로 들어갈 수 있어요.

홈택스 → 장려금·연말정산·기부금 → 편리한 연말정산 → 연말정산 미리보기

  • 올해 카드사용액 입력
  • 작년 연말정산 자료 자동 불러오기
  • 본인 상황(연봉, 가족 구성, 의료비 등) 반영
  • 절세 전략까지 확인 가능

미리보기에서 꼭 확인해야 할 항목

1. 예상 연봉·지출 입력하기

먼저 작년 지급명세서 기반으로 기존 공제 내역이 자동 채워져요.
여기에 올해 예상 연봉과 납부세액만 넣으면 기본 설정 끝.

그리고 1~9월 카드 사용액은 자동 조회되고,
10~12월 예상 사용액을 넣으면 신용카드 소득공제 예상액이 바로 계산돼요.

어떤 지출 방식이 유리한가?

  • 신용카드: 15%
  • 체크카드·현금영수증: 30%
  • 전통시장·대중교통: 40%

즉, 연말에 공제를 더 받고 싶다면 체크카드나 현금영수증을 적극 이용하는 게 유리해요.

2. 올해부터 달라지는 공제 혜택

2025년 연말정산부터 몇 가지 제도가 확대돼요.

주요 변경점

  • 주택마련저축: 무주택 세대주의 배우자도 공제 가능
  • 자녀세액공제: 자녀 수에 따라 공제액 상향
  • 고향사랑기부금: 특별재난지역 기부 시 공제율 30%로 확대

공제 범위가 꽤 넓어진 만큼, 본인 상황에 맞게 체크해두면 좋아요.

3. 최근 3년 비교 기능 활용하기

홈택스에서는 총급여·결정세액·공제금액의 3개년 추이를 그래프로 보여줘요.
올해 지출과 공제가 이상하게 빠지거나 과하게 잡히는지 한눈에 확인하기 좋습니다.

그리고 항목별 유의사항도 꼭 읽어보세요.
예를 들어 자동차 구매, 등록금, 공과금, 상품권 등은 카드로 결제해도 공제 안 된다는 점 놓치기 쉽거든요.


맞춤형 안내 서비스도 꼭 확인하세요

어떤 사람에게 오나요?

국세청이 빅데이터 분석으로 “공제 받을 가능성이 높은 사람” 52만 명을 선정해
카카오톡·네이버 전자문서로 안내 메시지를 보내줘요.

안내되는 7가지 주요 항목

  • 장기주택저당차입금
  • 주택임차차입금
  • 주택마련저축
  • 교육비
  • 기부금
  • 월세액 세액공제
  • 중소기업 취업자 감면

특히 월세 세액공제 대상자 안내는 올해 크게 늘었어요.

실제 사례

중소기업에 취업하고 월세 살기 시작한 A씨는
뭘 공제받을 수 있는지 몰라서 그냥 넘어갈 뻔했는데,
국세청 맞춤형 안내를 받고 월세 세액공제와 중소기업 취업자 감면을 모두 챙겼어요.

단, 안내시점(11월)과 실제 연말정산 기준일(12월 31일)이 다르니까
마지막에 다시 한 번 본인 조건을 꼭 확인해야 합니다.


연말정산 절세계획을 세우는 간단한 예시

1. 500만원을 어디에 넣으면 가장 유리할까?

예금 만기 500만 원을 절세용으로 활용하는 경우를 보면:

  • 연금저축계좌: 75만 원 세액공제
  • 주택청약종합저축: 18만 원 세액공제
  • 청년형 장기집합투자증권저축: 30만 원 세액공제

각 상품마다 해지 시 가산세가 있기 때문에, 목적에 맞게 선택하세요.

2. 고향사랑기부금 환급 차이

50만 원 기부 기준으로 보면:

  • 일반 지역: 약 15만 원 공제
  • 특별재난지역: 약 21만 원 공제

답례품은 동일하게 기부금의 30% 수준으로 제공돼요.


자주 묻는 질문 정리

1. 미리보기에서 환급액이 나오면 진짜 그만큼 돌려받나요?

올해 실제 지출, 연말 기준 요건 충족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2. 카드 사용액이 일부 조회되지 않는 이유는?

카드사에서 제출하지 않은 자료가 있을 수 있어요.
다만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1월)에서는 모두 정상 제공됩니다.

3. 성년이 된 자녀(2006년생) 자료도 조회되나요?

본인이 자료 제공 동의해야 조회돼요.
미성년자는 부모가 홈택스에서 대신 동의 신청 가능합니다.

4. 맞춤형 안내는 카톡으로만 오나요?

1차는 카카오톡, 미수신 시 2차로 네이버 전자문서가 와요.
SMS나 전화는 없으니 스미싱 주의하세요.